티스토리 뷰
오늘 소개하는 책은 아파트 소액투자를 고민하는 분들에게 적합한 월급쟁이의 첫부동산 공부란 책입니다.
저자는 대기업 연구직으로 비교적 늦은 나이 ?? (38살)에 부동산 투자에 뛰어들었다고 하네요.
과연 38살이 늦은 나이인가 란 생각이 문득 드네요?? (하기야 저도 34살부터 투자를 했으니) 요즘은 하도 20대 부터 투자하는 사람들이 많으니평균 연령대가 낮아지는건 맞는거 같네요.
14년도 부터 투자를 시작했다고 하는데 상승장을 아주 잘 탄듯 하네요.
7년만에 순자산 50배를 늘리셨네요.
그에 비해 저는 15년도 부터 투자했음에도 아직까지 그렇다할 성과는 없네요 완전 비교되네~
내가 이럴려고 부동산 공부했나 이런 자괴감이 ~~ ㅋㅋㅋ
여태까지 부동산 투자책을 많이 봐왔지만 이번책은 조금 남달랐습니다.
몇몇분들의 책에서는 자신의 투자를 자랑하기만 하고 투자방법및 분석법을 대충 알려주는 분들이 더러 있었는데요
이번책에서는 자신의 투자를 얘기하며 분석방법과 투자적용방법까지 세밀하게 알려주기 때문인데요.
읽다보니 본인의 투자 기술을 전부 다 알려줄려고 하는듯 많은 내용이 담겨 있네요.
그중 가장 기억에 남는 몇가지만 짚어보겠습니다.
1) 연쇄반응 투자법은 꽤 신선했답니다.
연쇄반응 투자란 어떤 특정한 아파트가 상승했을때 그 심리가 다른 아파트로 전이되어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인데요.
특별한 사유가 없다면 과거의 가격과 미래의 가격이 비슷하게 흘러갈것이라고 얘기하고
과거 상승장에서 해당지역의 가격움직임을 살피고 앞으로 가격 상승이 예상되는 아파트를 매수하는 전략입니다.
2)투지지역을 선정할때는 인접도시와 유사도시의 대장 아파트 가격을 비교해보라고 하네요.
각 도시의 대장아파트의 가격을 비교하여 어느지역이 저평가 되어있는지로 투자시기 판단할수 있다
그리고 투자할때는 4년이상 오를지역을 선점해야 리스크 관리를 할수 있다고 합니다.
3) 같은 동네라도 A와 B아파트의 입지로 인해 똑같이 2.5억씩 오르는게 아니다
즉 현재의 시세를 A와 B아파트의 상승률로 구분해보면 이 아파트가 지금 시점에서
저평가인지 투자가치가 있는지 알수 있다.
아래 표에서 비슷한 연식에 비슷한 입지라면 상승률을 보고 상승률이 낮은 아파트가 저평가라고 볼수 있다
4) 아파트 상승 사이클에 대한 표이다
-바닥을 다지는 시기에는 1급지 아파트에 투자하고
-상승 흐름 초기와 상승진행중에는 1.5~2급지 아파트를 투자한다.
-1급지 아파트와 1.5급지 아파트가 많이 올랐다 싶은 상승중기에는 2.5급지를 투자해야 한다.1
5) 서울 중형 아파트 평균가격과 광역시 대장 아파트의 가격비교
지방 광역시 대장아파트의 가격은 서울 중형 평균가격에서 아주 약간(+-알파)의 차이만 난다고 한다.
이를 토대로 어느 광역시 대장아파트가 저렴한지 판단할수 있다.
여기 그래프만 보자면 울산 문수로 2차가 저평가 된듯 하다.
이책이 나오는 시점의 데이터임으로 지금은 울산도 많이 올랐겠군
지방광역시 대장아파트의 건축연도와 인구수에 따라 서울 중형평균 아파트와의 가격변동이 생긴다고한다.
서울 중형평균과 각도시 대장아파트의 아파트 가격을 표로 나타낸것이다.
대전 크로바는 연식이 오래되어 그나마 가격이 뒤쳐지는것 같고 20.5월 기준에서는 울산문수로2차가
저평가인듯하다.
6) 서산시는 인구 17만 소도시로 최근 입주한 신축위주로 입지 좋은곳에 투자하는게 좋다고 한다.
7) 저자의 아파트 선정 기준
마지막으로 이책에서 추천하는 유망 도시 5곳은 바로
제주도, 경기 이천, 전남 목포, 충남 서산, 경남 거제를 주목하라고 하네요.
여기까지 제가 쓴 내용을 토대로 아파트 투자에 관심이 있으신 부린이라면 꼭 한번 읽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그럼 이만^^
'독서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송사무장의 평범한삶에서 탈출하는 노하우를 담은책(엑시트)EXIT (2) | 2021.12.28 |
---|---|
좋은주식 나쁜주식[주식 입문서] (0) | 2021.08.27 |
삼성전자를 사야 하는 이유 부의진리 이영주 (0) | 2021.08.06 |
40대에 하지 않으면 안될 50가지를 읽고 나서 (0) | 2021.07.26 |
슈퍼개미 김정환의 나의첫투자수업 1,2권을 읽고 (0) | 2021.05.30 |